• 비가 오는 밤에 노면 표시는 어떻게 될까요?

     

    우천형 재귀반사 노면 표시로 도로 안전 개선

     
     

     

     

     
    • 지방의 2차선 도로를 운전하고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해가 진 저녁 시간 입니다. 도로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게다가 마주 오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는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전방 주시하는 것을 더욱더 어렵게 합니다. 도로 위 차로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비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대부분의 운전자가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으며 이때 차선을 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고 있습니다. 사실
       

      • 대부분의 교통량은 낮에 많지만 치명적인 충돌 사고의 49%는 밤에 발생합니다.¹
      • 날씨 관련 사고의 70%는 젖은 포장 도로에서 발생합니다.²
      • 가볍게 내리거나 폭우가 내리는 밤에 운전할 경우에는 부상 관련 사고의 위험이 7.7배, 치명적인 사고의 위험이 10배 증가합니다(주간 운전에 비해).³
      • 2017년에 비가 내리는 미국 도로에서 6,952명이 교통 사고로 사망하였습니다.⁴.⁴

      야간에 비가 오는 상황에서는 차로를 표시하는 차선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노면 표시 시인성은 운전자가 길을 찾고, 차로를 유지하고,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밤이나 비가 올 때 노면 표시가 더 잘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노면 표시 vs. 비

    • 밤에 고속도로를 달리는 차량과 트럭의 전조등으로 밝게 비친 노면 표시

      어둡고 비가 오는 상황에서 차선이 보이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려면, 노면 표시의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노면 표시에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운전자에게 다시 반사하도록 설계된 재귀반사 유리알 비드(광학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로를 따라 이동하는 운전자가 밤에 차선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재귀반사 광학체는 각기 다른 조건에서 빛을 더 잘 반사하기 때문에 단일 광학((유리알)만으로 건조 및 비 오는 조건 모두에 최적화될 수 없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노면 표시는 굴절률(RI)이 1.5인 재귀반사 광학체를 사용합니다. 이는 건조한 상태에 맞게 설계되었지만 최적화되지는 않았습니다.

      비가 오면 광학체가 공기 대신 물로 둘러싸이게 되고 물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더 높습니다. 결과적으로 헤드라이트의 조명은 훨씬 더 넓고 약한 원뿔로 퍼지고 차량 쪽으로 다시 반사되는 빛은 매우 약합니다. 이는 도로 차선의 시인성을 상당히 감소시킵니다.


     

     

    우천 시에 최적화된 노면 표시

    • 지난 10년 동안 노면 표시는 낮이나 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모든 조건에서 탁월한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우천형 노면 표시는 굴절률이 2.4인 재귀반사 광학체를 사용합니다.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진 광학체는 더 좁은 원뿔형의 반사광을 생성하고 더 많은 빛을 운전자의 눈으로 다시 반사하여 우천으로 인한 수막의 영향을 상쇄합니다. 다른 노면 표시의 경우에는 수막으로 인해 눈에 보이기 어려운 조건에서도 이러한 광학체를 사용한 노면 표시는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합니다. 미국 DOT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천형 노면 표시는 젖은 상태의 다차선 도로에서 도로 이탈 사고를 최대 46%까지 감소시킵니다.


     

     

    사람과 기계의 노면 표시 가시성 향상

    • A 해 질 무렵의 혼잡한 8차선 고속도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노면 표시

      우천형 노면 표시에는 최고의 재귀반사 효율을 제공하고 건조한 조건에서 시인성을 극대화하는 고성능 1.9 굴절률의 광학체도 포함됩니다. 이는 운전자의 시인성뿐 아니라 차선 이탈 경고(LDW) 및 차선 유지 지원(LKA)과 같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이 장착된 차량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기능을 갖춘 차량이 점점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SBD Automotive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 2016-2017년에 판매된 차량 모델의 60%가 표준 또는 선택 안전 기능으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을 제공했습니다." ⁵ 고속도로 손실 데이터 연구소(Highway Loss Data Institute)는 2025년까지 모든 등록 차량의 40% 이상이 표준 또는 옵션 LDW를 장착할 것으로 추정합니다.⁶

      이 ADAS가 장착된 차량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차량을 차선에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시인성이 향상되고 우천시 재귀반사성능이 추가된 노면 표시는 이러한 시스템이 다양한 조건에서 차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차량이 차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운전자가 가장 필요로 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우천 시 반사 성능

    • 어둡고 비가 오는 2차선 고속도로에 헤드라이트가 밝게 비추는 황색 차선

      노면 표시는 운전자와 카메라 시스템이 있는 차량이 차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움을 제공하여 도로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노면 표시가 더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모든 조건에서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야간에 비가 내리면 운전자가 일반 노면 표시를 확인하기가 더 어려워 잠재적으로 충돌, 부상 및 사망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 기사의 시작 부분에 있었던 어둡고 비가 오는 지방의 2차선 도로를 운전하는 자신을 다시 상상해 보십시오. 그러나 이번에는 차선이 고성능 우천형 노면 표시로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노면 표시는 비와 수막의 영향을 상쇄하는 재귀반사 광학체를 사용하여 낮이나 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일관되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합니다. 이제 차선을 보고 차로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전 환경은 우리의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우천형 노면 표시를 설치함으로써 현재와 미래를 위해 더 안전한 도로를 건설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 ¹Forbes. Most Dangerous Times to Drive, Jan., 2009.
      ²DOT/FHWA. Ten-year averages from 2005 to 2014 analyzed by Booz Allen Hamilton, based on NHTSA data, 2005-2014).
      ³BAAC (French road traffic database, government open data).
      NHTSA Fatality Analysis Reporting System (FARS), 2017
      ⁵SBD Automotive — ADAS Tracker — AUT 534. June 2016.
      ⁶Predicted availability and fitment of safety features on registered vehicles — 2017. Institute, Highway Loss Data. Vol. 34. No 28, September 2017.

     

     

    Close